개발/개발 방법론(32)
-
[전통적인 방법론] V-모델(Verification & Validation) - 5. 총정리 및 프로젝트 실습 (5.2 최종 프로젝트 실습)
5.2 최종 프로젝트 실습📌 개요이번 실습에서는 V-모델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을 수행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요구사항 분석부터 시스템 테스트까지 각 단계별 절차를 실습하며, 최종적으로 프로젝트 결과물을 발표하고 피드백을 받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목표:V-모델의 모든 단계(요구사항 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를 실습하여 이해도를 높인다.각 단계에서 산출물을 생성하고, 실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경험한다.최종적으로 결과물을 발표하고, 피드백을 통해 개선점을 도출한다.✔ 실습 개요:주제: 온라인 쇼핑몰, 의료기기 데이터 관리 시스템, 차량 예약 시스템 등 선택 가능V-모델 적용 단계: 요구사항 분석 → 시스템 설계 → 소프트웨어 설계 → 구현 → 단위 테스트 → 통합 테스트 → 시스템 ..
2025.03.12 -
[전통적인 방법론] V-모델(Verification & Validation) - 5. 총정리 및 프로젝트 실습 (5.1 전체 과정 복습)
5.1 전체 과정 복습이번 과정에서는 V-모델(V-Model)의 개념과 각 단계별 특징을 학습하고, 테스트 단계별 검증(Verification) 및 확인(Validation) 절차를 살펴보았습니다.이제 전체 과정을 복습하고, 주요 개념을 정리한 후, 질의응답을 통해 이해도를 점검해보겠습니다.📌 1. V-모델 개념 및 각 단계별 특징 복습V-모델은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검증(Verification)과 확인(Validation)을 병렬적으로 수행하여 품질을 보장하는 개발 모델입니다.이 모델은 각 개발 단계에 대응하는 테스트 단계가 존재하여, 개발과 검증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구조입니다.📌 V-모델의 핵심 개념Verification(검증): 개발 단계에서 요구사항이 올바르게 구현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V..
2025.03.12 -
[전통적인 방법론] V-모델(Verification & Validation) - 4. V-모델 적용 사례 (4.2 V-모델과 애자일(Agile) 방식의 차이점)
4.2 V-모델과 애자일(Agile) 방식의 차이점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V-모델과 애자일(Agile) 방식이 대표적인 접근 방식으로 사용됩니다.V-모델은 계획 중심의 구조적인 개발 방식, 애자일은 유연하고 반복적인 개발 방식을 기반으로 합니다.최근에는 두 방식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접근법도 실무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1. 애자일 개발 방식과 V-모델의 비교✔ V-모델과 애자일 개요 개발 방법론 개요특징V-모델계획 기반 개발 모델로, 각 개발 단계가 대응하는 테스트 단계를 가짐명확한 단계 정의, 철저한 검증 및 확인, 문서 중심애자일(Agile)반복적이고 점진적인 개발 방식으로, 고객 피드백을 반영하며 개발유연성, 고객 중심, 변화에 빠르게 대응 가능✔ V-모델은 계획에 따라 개발이 진행되지만,..
2025.03.12 -
[전통적인 방법론] V-모델(Verification & Validation) - 4. V-모델 적용 사례 (4.1 실제 프로젝트에서 V-모델 활용 사례)
4.1 실제 프로젝트에서 V-모델 활용 사례V-모델은 안전성과 신뢰성이 필수적인 산업(자동차, 의료기기, 항공 및 국방 등)에서 널리 사용됩니다.이러한 산업에서는 소프트웨어 오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고, 엄격한 규제 요건을 준수해야 하기 때문에, 단계별 검증(Verification)과 확인(Validation)이 철저하게 수행되는 V-모델이 필수적입니다.이 장에서는 V-모델이 실제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자동차 산업(AUTOSAR), 의료기기 소프트웨어(FDA 요구사항), 항공 및 국방 소프트웨어(DO-178C)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자동차 산업(AUTOSAR)에서의 적용✔ 자동차 산업에서 V-모델이 중요한 이유자동차 소프트웨어는 주행 안전성 및 법적 규제를 준수해야 하므로,..
2025.03.12 -
[전통적인 방법론] V-모델(Verification & Validation) - 3. V-모델의 테스트 단계 (3.4 인수 테스트(Acceptance Testing) 단계)
3.4 인수 테스트(Acceptance Testing) 단계인수 테스트(Acceptance Testing)는 개발된 소프트웨어가 실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검증하는 최종 테스트 단계입니다.이 단계에서는 사용자 시나리오 기반으로 테스트를 수행하며, 소프트웨어가 실제 운영 환경에서 문제없이 작동하는지를 확인합니다.V-모델에서는 인수 테스트가 최종 검증 단계로, 이 테스트를 통과하면 시스템이 실제 배포(Deployment)될 수 있습니다.📌 학습 목표✔ 최종 사용자가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는 인수 테스트 방법을 학습한다.✔ 사용자 시나리오 기반 테스트를 수행하는 방법을 익힌다.✔ UAT(User Acceptance Testing) 절차를 이해하고, 필드 테스트(FAT, SAT) 개념을 학습한..
2025.03.12 -
[전통적인 방법론] V-모델(Verification & Validation) - 3. V-모델의 테스트 단계 (3.3 시스템 테스트(System Testing) 단계)
3.3 시스템 테스트(System Testing) 단계시스템 테스트(System Testing)는 개발된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전체적으로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검증하는 과정입니다.단위 테스트(각 모듈 검증)와 통합 테스트(모듈 간 연동 검증)를 거친 후, 전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하는 마지막 단계입니다.이 단계에서는 기능적 요구사항뿐만 아니라, 성능, 보안, 확장성 등 비기능적 요구사항도 검증합니다.📌 학습 목표✔ 전체 시스템이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시스템 테스트 계획을 수립하고, 기능 및 비기능 테스트를 수행한다.✔ 성능 테스트 및 부하 테스트 개념을 익히고, 자동화 도구를 활용한다.✔ Selenium 또는 JMeter를 활용하여 간단한 시스템 테스트를 실행..
2025.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