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베딩 벡터 - 7. 최신 동향과 기술

2025. 3. 26. 18:16AI/AI

 

📘 7. 최신 동향과 기술


🔹 7.1 트랜스포머 기반 임베딩

✅ 개요

트랜스포머(Transformer) 아키텍처는 최근 임베딩 기술의 핵심입니다.
BERT, GPT 계열 모델은 문맥을 양방향 또는 조건부로 이해해 임베딩을 생성합니다.

💡 특징

  • 문맥 의존적인 표현 가능 (다의어 구별 등)
  • 입력 토큰 단위로 의미를 동적으로 반영
  • 문장, 문단, 문서 수준의 표현력 우수

📊 대표 모델

  • BERT: 양방향 인코더
  • RoBERTa: BERT 개선형
  • GPT 계열: 생성 중심
  • DistilBERT, MiniLM: 경량화 모델

📌 문장 임베딩에서는 Sentence-BERT, SimCSE가 널리 사용됨


🔹 7.2 멀티모달 및 크로스모달 임베딩

✅ 개요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등 서로 다른 데이터 유형(모달리티)공통 임베딩 공간에 매핑하는 방식입니다.

  • 멀티모달(Multimodal): 텍스트 + 이미지 같이 여러 모달리티를 함께 처리
  • 크로스모달(Cross-modal): 텍스트 ↔ 이미지 등 모달리티 간 매칭/전환

💡 대표 모델

  • CLIP (OpenAI): 텍스트 ↔ 이미지 매칭 학습
  • ALIGN (Google), FLAVA (Meta), BLIP
  • Flamingo (DeepMind): 비전 + 언어 혼합형 생성 모델

🧠 활용

  • 텍스트 기반 이미지 검색
  • 이미지 캡셔닝
  • 멀티모달 QA, 생성형 멀티미디어 응답

🔹 7.3 오픈소스 및 API

✅ 활용 가능한 플랫폼

플랫폼 설명
OpenAI API 텍스트 임베딩 (text-embedding-3-small 등) 제공
Hugging Face Transformers 수천 개 모델을 직접 불러와 사용 가능
Sentence-Transformers SBERT, SimCSE 등 문장 임베딩 라이브러리
Cohere API 빠른 문장/문서 임베딩 서비스
Google’s Universal Sentence Encoder (USE) 범용 문장 표현 제공

🧩 실전 적용 예시

  • 텍스트 임베딩 API 호출 → FAISS로 벡터 검색
  • Hugging Face 모델 불러와 문장 임베딩 후 분류 모델에 활용

🔹 7.4 벡터 데이터베이스와 결합

임베딩 벡터는 전통적인 관계형 DB로 다루기 어렵기 때문에,
전용 벡터 검색 기능을 갖춘 벡터 데이터베이스(Vector DB)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 7.4.1 FAISS (Facebook AI Similarity Search)

  •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픈소스 벡터 검색 라이브러리
  • CPU/GPU 기반 근사 최근접 탐색(ANN)
  • 대규모 데이터에서도 빠른 검색 성능 제공

🔸 7.4.2 Pinecone

  • 벡터 저장, 검색, 스케일링까지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벡터 DB 서비스
  • API 호출만으로 통합 검색 시스템 구현 가능

🔸 7.4.3 Milvus

  • 오픈소스 벡터 DB
  • ScaNN, HNSW, IVF 등 다양한 인덱싱 알고리즘 지원
  • 높은 확장성과 플러그인 구조

🔸 7.4.4 Weaviate

  • AI-native 벡터 DB
  • 자체적으로 텍스트 → 임베딩 생성 가능 (내장 모델)
  • 그래프 관계 연결 + RESTful API 제공

🔹 📌 요약 정리

기술 분야 주요 특징 대표 기술/도구
트랜스포머 임베딩 문맥 기반 표현 BERT, SimCSE, GPT
멀티모달 임베딩 텍스트 + 이미지 통합 CLIP, ALIGN, BLIP
오픈소스/API 빠른 임베딩 생성 Hugging Face, OpenAI API
벡터 데이터베이스 고속 유사도 검색 FAISS, Pinecone, Milvus, Weaviate